티스토리 뷰

목차



    아마존

     

    2025년 1분기 미국주식 아마존 실적 정리

     
     

    기업별 간단 요약본

    아마존: AWS와 광고 사업의 강한 성장세로 예상치 상회하는 실적 달성했으나, 다음 분기 가이던스는 기대보다 저조. 중국발 관세 영향 우려.

    1분기와 다음분기 가이던스

    항목 2025 회계연도 1분기 (실적) 2025 회계연도 2분기 (가이던스)
    총매출 $155.67B (↑9%) $159B~$164B (↑7~11%)
    영업이익 $18.4B (↑20%) $13B~$17.5B (시장 예상 $17.64B 하회)
    순이익 $17.13B, 주당 $1.59 (↑64%) 미공개
    북미 매출 $92.9B (↑8%) 미공개
    북미 영업이익 $5.8B (↑17%) 미공개
    국제 매출 $33.5B (↑5%, 환율 조정 시 ↑8%) 미공개
    국제 영업이익 $1.0B (흑자 전환) 미공개
    AWS 매출 $29.27B (↑17%) 미공개
    AWS 영업이익 $11.5B (↑23%) 미공개
    광고 매출 $13.92B (↑19%) 미공개
    자본 지출 $24.3B (↑74%) 2025년 약 $105B 투자 유지

    1분기 실적 전문해석

    매출

    아마존은 2025년 1분기에 총매출 1,557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1,550억 달러를 상회하는 결과다. 환율 변동에 따른 14억 달러의 불리한 영향을 제외하면 매출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셈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 지역 매출은 929억 달러로 전년 대비 8% 증가했으며, 국제 부문 매출은 335억 달러로 5% 증가(환율 조정 시 8% 증가)했다. 특히 AWS 클라우드 부문은 292.7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17% 성장했다.

    다만 AWS 매출은 시장 예상치인 294.2억 달러에 못 미쳤고, 이는 3분기 연속 예상치를 하회하는 결과다. 전 분기 18.9% 성장률에 비해 둔화된 성장세는 클라우드 사업의 경쟁 심화를 보여준다. AWS는 아마존 전체 매출의 약 19%를 차지하며 세계 최대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업체로서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광고 사업은 강세를 보였다. 광고 매출은 139.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으며, 이는 시장 예상치인 137.4억 달러를 상회했다. 이 실적은 아마존의 핵심 소매 사업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순이익

    1분기 순이익은 171.3억 달러(주당 1.59달러)로 전년 동기 104.3억 달러(주당 0.98달러)에 비해 64% 증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주당 1.36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결과다.

    영업이익도 184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북미 영업이익이 58억 달러로 17% 증가했고, 국제 부문은 10억 달러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지속 가능한 수익성 확보 추세를 이어갔다.

    AWS의 영업이익은 115억 달러로 전년 동기 94억 달러 대비 23% 증가했다. AWS의 영업이익률은 39.5%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AWS는 아마존 전체 영업이익의 약 63%를 차지하고 있으나 매출 비중은 21%에 불과해, 높은 수익성을 갖춘 사업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앤디 재시 CEO는 물류 네트워크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통해 아마존의 수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이번 분기 실적은 그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장률

    아마존의 주요 사업 부문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총매출: 9% 증가 (환율 조정 시 10% 증가)
    • 영업이익: 20% 증가
    • 순이익: 64% 증가
    • 북미 매출: 8% 증가
    • 국제 매출: 5% 증가 (환율 조정 시 8% 증가)
    • AWS 매출: 17% 증가 (전 분기 18.9%에서 둔화)
    • AWS 영업이익: 23% 증가
    • 광고 매출: 19% 증가

    추적 기간 12개월(TTM) 기준으로는 아마존의 매출이 6,50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717억 달러로 51% 증가, 순이익은 659억 달러로 75% 증가하는 등 상당한 마진 확대를 보여주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영업 현금흐름이 추적 기간 12개월 기준으로 1,139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5% 증가했으나, 잉여현금흐름(FCF)은 259억 달러로 전년 대비 48% 감소했다는 것이다. 이는 AWS 인프라와 AI 역량에 대한 자본 지출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관세 영향 우려

    아마존은 2025년 2분기 가이던스에서 영업이익이 130억~175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는데, 이는 시장 예상치인 176.4억 달러를 하회하는 수치다. 특히 주목할 점은 아마존이 가이던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관세 및 무역 정책"과 "경기 침체 우려"를 명시적으로 언급했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145% 관세와 다른 국가 제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가 아마존의 소매 사업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AI 투자 및 전망

    아마존은 AI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1분기 자본 인프라 지출은 243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74% 증가했으며, 2025년에는 약 1,050억 달러의 자본 지출을 예상하고 있다. 이 투자의 상당 부분은 Anthropic 등의 클라우드 고객을 위한 AI 모델 훈련 및 실행 칩을 포함한 데이터 센터에 투입될 예정이다.

    앤디 재시 CEO는 AI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고 언급하며, "더 많은 용량이 있다면 더 많은 고객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매출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향후 몇 개월 내에 더 많은 Trainium2 인스턴스와 차세대 NVIDIA 인스턴스가 도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아마존은 이번 분기에 차세대 개인 비서 'Alexa+'를 도입했으며, 농촌 지역 고객에게 더 빠른 배송을 제공하기 위해 2026년까지 4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서비스 확장에도 노력하고 있다.

    결론

    아마존은 2025년 1분기에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총매출 1,557억 달러(9% 증가)와 주당 순이익 1.59달러(64% 증가)는 모두 시장 기대치를 넘어섰다. 특히 광고 부문의 19% 성장과 AWS의 영업이익률 39.5%는 아마존의 수익성 개선을 보여주는 긍정적 지표다.

    하지만 2분기 영업이익 가이던스(130억~175억 달러)가 시장 예상치인 176.4억 달러를 하회하면서 시장의 우려를 자아냈다. 특히 아마존은 가이던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관세 및 무역 정책"과 "경기 침체 우려" 등을 언급하며, 전 분기와 달리 가이던스에 대한 불확실성을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145%) 부과는 아마존의 소매 부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앤디 재시 CEO는 "아직 수요 약화는 보지 못했으며, 일부 카테고리에서는 관세 영향에 앞서 재고를 확보하려는 강화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지만, 투자자들은 여전히 관세가 아마존의 소매 사업과 이에 의존하는 판매자들에게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AWS 클라우드 부문은 3분기 연속 예상치를 밑도는 매출을 기록했으나,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며 아마존의 수익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다만 경쟁이 치열한 클라우드 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성장률이 예상을 상회한 것과 대조적으로, AWS의 성장세 둔화는 계속 주시해야 할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아마존은 핵심 사업 부문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지만, 향후 관세 영향과 클라우드 경쟁 심화 등의 도전 요소에 직면해 있다. AI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단기적으로는 자유현금흐름에 부담이 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투자가 클라우드와 AI 분야에서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본 보고서는 2025년 1분기 아마존 실적 발표 자료와 컨퍼런스 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