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1분기 미국주식 구글 실적 정리

    2025년 1분기 미국주식 구글 실적 정리

    기업별 간단 요약본

    구글(알파벳): 클라우드, 검색, 유튜브 등 핵심 사업 부문의 강력한 성장세로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1분기 실적 달성. AI 분야 리더십 통해 미래 성장 기반 확보 중.

    1분기와 다음분기 가이던스

    항목 2025 회계연도 1분기 (실적) 2025 회계연도 2분기 (가이던스)
    총매출 $90.23B (↑12%) 금융 서비스 수익 감소와 클라우드 인프라 수급 상황에 따른 불확실성 언급
    순이익 $34.54B (↑46%) 미공개
    조정 EPS $2.27 (비시장성 증권 미실현 이익 제외) 미공개
    광고 매출 $66.89B (↑8.5%) 도매 면세 규정 변경으로 아시아 태평양 소매업체 중심 소폭 역풍 예상
    검색 및 기타 매출 $50.7B (↑9.8%) 미공개
    유튜브 광고 매출 $8.93B (↑10.4%) 미공개
    클라우드 매출 $12.26B (↑28%) 수요/공급 상황에 따른 매출 성장률 변동성 예상
    구독 플랫폼 및 기기 매출 $10.38B (↑18.8%) 미공개
    자본 지출 2025년 약 $75B 투자 유지 발표 분기별 인도 시점 및 건설 일정에 따라 변동 가능
    주주 환원 자사주 매입 $15.1B, 배당금 $2.4B 주당 $0.21 배당금(5% 인상), $70B 자사주 매입 승인

    1분기 실적 전문해석

    매출

    알파벳이 2025년 1분기에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강력한 실적을 발표했다. 총매출은 902.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으며, 이는 월가 예상치 891.2억 달러를 상회하는 수치다. 특히 주목할 점은 검색 부문이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는 사실이다.

    핵심 사업부인 광고 부문은 668.9억 달러로 전년 대비 8.5% 증가했으며, 이 중 '검색 및 기타' 부문은 507억 달러로 9.8% 증가했다. 유튜브 광고 매출은 89.3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89.7억 달러에 약간 못 미쳤지만, 여전히 전년 대비 10.4% 성장이라는 견조한 실적을 보였다.

    클라우드 사업은 122.6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8% 성장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 122.7억 달러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영업이익률은 17.8%로 전년 동기 9.4%보다 크게 개선되었다. 구글 클라우드는 AI 훈련 및 추론에 있어 비용, 성능, 안정성 측면에서 뛰어난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베리존과 같은 글로벌 브랜드부터 애니스케일, 컨텍스추얼 AI와 같은 AI 기업들까지 다양한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구독, 플랫폼 및 기기 부문(이전 '구글 기타' 부문)은 103.8억 달러로 전년 동기 87.4억 달러 대비 18.8% 증가했다. 구글은 유튜브와 구글 원을 주요 성장 동력으로 유료 구독자 수가 2억 7천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한편, 기타 베팅(Other Bets) 부문은 4.5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지만, 12.3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4.95억 달러 매출, 10.2억 달러 손실에 비해 매출은 감소하고 손실은 확대된 결과다.

    순이익

    알파벳의 1분기 순이익은 345.4억 달러(주당 2.81달러)로 전년 동기 236.6억 달러(주당 1.89달러) 대비 46% 증가했다. 다만 이 수치에는 비시장성 주식 투자에서 발생한 80억 달러의 미실현 이익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제외한 조정 순이익은 주당 2.27달러로, 이 역시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상회했다. 클라우드 부문은 17.8%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전년 동기 9.4%에서 크게 개선되었는데, 이는 비즈니스 효율성 향상과 AI 인프라 투자의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장률

    알파벳의 주요 사업부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총매출: 12% 증가
    • 광고 매출: 8.5% 증가
    • 검색 및 기타 매출: 9.8% 증가
    • 유튜브 광고 매출: 10.4% 증가
    • 클라우드 매출: 28% 증가
    • 구독, 플랫폼 및 기기 매출: 18.8% 증가

    특히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클라우드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 9.4%에서 17.8%로 8.4%p 개선되었다. 이는 클라우드 사업이 구글의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글은 AI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 상단에 배치되는 AI 오버뷰는 월간 사용자 수가 15억 명에 도달했으며, 이는 2024년 10월 10억 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구글은 이번 분기에 가장 지능적인 AI 모델인 Gemini 2.5를 출시했으며, 멀티모달 쿼리도 크게 증가하여 Circle to Search는 2억 5천만 대 이상의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고, 이용률은 이번 분기에 약 40% 증가했다.

    AI 투자 및 전망

    구글은 AI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올해 자본 지출은 약 750억 달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AI 인프라 확장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계속될 것임을 시사한다. 1분기 자본 지출은 인도 시점 및 건설 일정에 따라 분기별로 변동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구글은 3월에 위즈(Wiz)를 32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는데, 이는 2024년 제안한 금액보다 약 100억 달러 더 많은 금액이다. 이 인수는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아 내년에 완료될 예정이며, 구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인수가 될 전망이다.

    순다르 피차이 CEO는 구글의 강점은 AI 스택의 다양한 요소를 아우르는 풀 스택 접근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200개 이상의 기반 모델을 제공하는 Vertex AI 플랫폼을 통해 로우스와 같은 고객들이 AI를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Gemini 2.5 Pro, 2.5 Flash, Imagen 3, Veo 2, Chirp, Lyria 등의 업계 선도적인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결론

    구글은 2025년 1분기에 전반적으로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AI에 대한 투자가 핵심 사업 부문인 검색, 클라우드, 유튜브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전체 매출이 12%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 10%를 상회했고, 순이익도 전년 대비 46% 증가하는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다.

    AI 오버뷰, 서클 투 서치와 같은 AI 기반 제품들의 사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구글 클라우드는 AI 훈련 및 추론에 있어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Gemini 2.5 출시는 구글의 AI 역량을 한층 강화했으며, 이는 미래 혁신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함께 도매 면세 규정 변경으로 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소매업체 중심의 광고 사업 역풍이 예상되는 점은 2025년 하반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다. 또한 클라우드 인프라의 수요/공급 상황에 따라 클라우드 매출 성장률의 변동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은 투자자들이 주시해야 할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사회의 분기당 주당 0.21달러 배당금(5% 인상) 결정과 7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승인은 구글의 재무적 건전성과 주주 가치 창출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준다. 향후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혁신, 클라우드 사업의 확장, 효율성 향상을 통한 수익성 개선 등이 구글의 장기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본 보고서는 2025년 1분기 알파벳 실적 발표 자료와 컨퍼런스 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