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분기 미국주식 마스터카드(MA) 실적 정리
마스터카드는 2025년 1분기에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강력한 매출 성장과 소비자 지출 증가에 힘입어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3.73달러로 애널리스트 컨센서스인 3.57달러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73억 달러로 예상치인 71.3억 달러를 상회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총 결제액(GDV) 증가, 국가 간 거래량 증가, 그리고 처리 거래 증가에 의해 뒷받침되었습니다.
기업별 간단 요약본 (30자 이하)
기업 | 1분기 실적 요약 |
---|---|
마스터카드(MA) | 매출 14%↑, EPS 16%↑, 국가간거래 15%↑ |
1분기 실적과 2분기 가이던스 비교
구분 | 1분기 실적 | 2분기 가이던스 | 비고 |
---|---|---|---|
매출 | 73억 달러 (YoY +14%) | 특정 수치 미제공 | 예상 71.3억 달러 상회 |
조정 EPS | 3.73 달러 (YoY +16%) | 특정 수치 미제공 | 예상 3.57 달러 상회, 자사주 매입 효과 0.08 달러 포함 |
순이익 | 33억 달러 (YoY +13%) | 특정 수치 미제공 | 세금율 증가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 |
총 결제액(GDV) | (YoY +9%) | 안정적 성장 지속 전망 | 미국 내 GDV 7% 증가 (신용카드 6%, 직불카드 8%) |
국가 간 거래량 | (YoY +15%) | 지속적 성장 예상 | 지역 및 거래 경로 다양화에 초점 |
운영비용 | (YoY +14%) | 낮은 두 자릿수 성장률 예상 (low double-digit) | AI 및 사이버 보안 분야 투자 확대 예정 |
운영 이익률 | 57.2% | 특정 수치 미제공 | 전년 대비 소폭 개선 |
연간 매출 가이던스 | - | 낮은 두 자릿수~저 십대(low-teens) 성장률의 상단 | 인수합병이 성장에 1~1.5%p 추가 기여 예상 |
1분기 실적 전문해석 (매출, 순이익, 성장률)
마스터카드는 2025년 1분기에 73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 성장했습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인 71.3억 달러를 상회하는 수치로, 회사의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의 강력한 성과를 반영합니다. 순이익은 3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으며, 주당순이익(EPS)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3.73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회사의 자사주 매입이 주당 0.08달러 기여한 결과입니다. 1분기 동안 마스터카드는 2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4월 28일까지 추가로 8.84억 달러의 자사주를 매입했습니다.
총 결제액(Gross Dollar Volume, GDV)은 현지 통화 기준으로 전년 대비 9% 증가했습니다. 미국 내 GDV는 7% 증가했으며, 이 중 신용카드는 6%, 직불카드는 8% 성장했습니다. 이 성장은 2024년 1분기에 시작된 시티즌스 직불카드 포트폴리오의 마스터카드로의 마이그레이션 효과가 일부 상쇄된 결과입니다. 국가 간 거래량은 15% 증가했으며, 회사는 지역 및 거래 경로 다양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마스터카드의 디지털 전환 노력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지표로는 대면 결제의 73%가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 거래의 35%가 토큰화되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회사가 보안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한 신기술 도입에 성공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마스터카드는 암호화폐 플랫폼과 협력하여 전 세계 1억 5천만 개 이상의 가맹점에서 암호화폐를 사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자사 네트워크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등 혁신적인 결제 솔루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운영 비용은 전년 대비 14% 증가했으며, 이는 주로 AI 및 사이버 보안과 같은 전략적 영역에 대한 투자 확대에 기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영 이익은 19% 증가했으며, 인수 관련 1%p의 불리한 영향을 포함한 수치입니다. 운영 이익률은 57.2%로 소폭 개선되었습니다. 순이익과 EPS 성장이 각각 13%와 16%로 운영 이익 성장보다 낮은 이유는 주로 글로벌 최소 세율 규정 시행으로 인한 세율 증가 때문입니다.
마스터카드 CEO 마이클 미바흐(Michael Miebach)는 "우리는 또 다른 분기의 매우 강력한 결과를 제공했다"고 강조하며, 회사의 제품 및 서비스 전반에 걸친 성공적인 다각화를 언급했습니다. CFO 사친 메라(Sachin Mehra)는 "우리의 사업은 다각화되어 있으며, 이는 제품과 서비스, 필수 및 비필수 지출 카테고리 전반에 걸쳐 사실"이라고 강조하며 마스터카드 비즈니스 모델의 탄력성을 강조했습니다.
1분기 실적 발표에서 회사는 운영 지표가 다음 세 가지 요소를 조정한 후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첫째, 2024년 1분기의 윤년으로 인해 거래량, 거래 건수, 국가 간 거래량의 성장률이 1%p 이상 감소했습니다. 둘째, 부활절과 다른 휴일의 시기적 요인으로 2024년에는 1분기 말에 있었던 부활절이 2025년에는 4월에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가 간 여행 관련 지출은 전 분기 실적 발표에서 언급했듯이 2024년 4분기에서 2025년 1분기로 지출이 앞당겨진 영향이 있었습니다.
결론
마스터카드는 2025년 1분기에 예상을 상회하는 강력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매출 14% 증가, EPS 16% 증가, 그리고 국가 간 거래량 15% 증가는 회사의 사업 모델이 다양한 경제 환경에서도 견고하게 성장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비접촉식 결제와 토큰화된 거래의 높은 비중은 디지털 결제 기술 도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회사는 2025년 연간 매출 성장률이 낮은 두 자릿수~저 십대(low-teens) 범위의 상단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하며, 인수합병이 성장에 1~1.5%p 추가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운영 비용은 낮은 두 자릿수 범위의 하단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외환이 매출과 비용 모두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나 마스터카드가 직면한 몇 가지 도전 과제도 있습니다. 지정학적 긴장과 운영 비용 증가는 계속해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캐피탈원(Capital One)과 디스커버(Discover)의 합병은 결제 산업의 경쟁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입니다. 또한 현재 시행되기 시작한 글로벌 최소 세율 규정은 회사의 실효 세율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스터카드는 결제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AI와 사이버 보안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있으며, 암호화폐 및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신흥 결제 기술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통해 주주 가치를 제고하고 있으며, 3월 31일 기준으로 현재 주식 환매 계획에 따라 A클래스 보통주 25억 달러까지 추가 매입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마스터카드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회사가 디지털 결제 혁신을 선도하고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성장 기회를 포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소비자 행동의 변화와 기술 혁신에 발맞춘 마스터카드의 전략적 포지셔닝은 장기적인 성장 전망을 밝게 합니다. 다만 경제적 불확실성, 규제 변화, 그리고 결제 산업의 경쟁 심화는 계속해서 모니터링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